전체 글(599)
-
Apache 세션 튜닝
http://www.atmarkit.co.jp/flinux/rensai/apache16/apache16b.html ■KeepAlive 와 세션의 끊김 세션튜닝의 시작은 「KeepAlive」부터 생각해보자 KeepAlive는HTTP/1.1부터 나온것으로、클라이언트와의 접속을 보존하기 위한 구조다. HTTP는「statuless・protocol」로 불리어지며、1회의 요구에(request)접속이 끊긴다. 하지만、하나의 웹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파일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하나의 요구에 대해 접속을 끊는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KeepAlive이다. 한번 접속을 하면 조건을 만족시킬때가지 접속을 보존하는 것이다. Apache에서 KeepAlive를 유효로할지 무효로 할지를 결정하는것이 ..
2010.02.19 -
mysql에 php모듈설치치
yum reinstall php-mysql
2010.02.19 -
symfony 이전작업에 대한 메모
지금 개발중인 symfony에 대한 메모 1. 심포니로 개발된 프로젝트를 복사 또는 저장소로부터 checkout시 주의점 심포니는 cache디렉토리에 웹에서 실행될 소스를 보관한다. 그 소스는 자유롭게 읽기,쓰기가 되어야 하므로 아래와 같이 실행하여 권한을 부여한다. .../sfproject 에서 ./symfony fix-perms 실행 2. 심포니는 .htaccess 없이 굴러가지 않는다 .../web 에 .htaccess 설정 파일이 없으면 악세스되지 않는다. 3. validation 기능의 확장 심포니의 validation 기능은 많은 부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꾸로 복잡한 validation기능을 이용하려면 커스텀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 ※validation의 흐름 1. 웹의 필드 입력..
2010.02.18 -
svn merge
출처 + http://binggrec.tistory.com/tag/svn%20mergesvn merge 방법 branch merge를 할 시점이 오면 항상 헷갈리던건데... 이번에 한번 개념 제대로 잡고 정리를 해보자.branch에서 작업한 내용을 trunk에 머지 시킬때1. 일단 trunk에서 branch를 가지고 왔을때의 리비전을 확인해야 한다.$ cd dev/branch/1.0$ svn log --stop-on-copy branch를 checkout 받은 디렉토리에서 --stop-on-copy를 해주면 과거에 copy 명령이 일어난 지점까지만 로그를 보여준다.해서 가장 아래에 있는 리비전을 확인하도록 한다. (copy가 일어난 시점의 리비전)2. ..
2010.02.18 -
sudo로 권한변경 가능한 유저생성
1. sudoers 파일 수정 [root@server3 ~]# vi /etc/sudoers - vi 편집기로는 /etc/sudoers 파일을 수정할 수 없다. read-only 파일이기 때문이다. [root@server3 ~]# visudo test1 ALL=/usr/sbin/useradd, /usr/bin/passwd - 추가해준다. 참고 - %를 이용하면 그룹지정을 할 수 있다. ex) %users ALL= - users라는 그룹에 대해서 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 2. 테스트 [root@server3 ~]# useradd test1 [root@server3 ~]# passwd test1 Changing password for user test1. New UNIX password: Retype new ..
2010.02.18 -
select의 결과로 update 하기
참고사항 한개의 컬럼을 대량으로 update 할 경우 : update 구문에 select 를 사용할 경우 in 은 절대 금지 문제의 sql update テーブルA A set (A.所属,A.住所,A.電話番号) = (select B.所属,B.住所,B.電話番号 from テーブルB B where A.ID = B.ID);※문제점 : B의 테이블ID가 부족할 경우 NULL을 갱신하기 때문에 아래 처럼 조건을 추가한다. 수정 후 sql update テーブルA A set A.所属 = (select B.所属 from テーブルB B where A.ID = B.ID) A.住所 = (select B.住所 from テーブルB B where A.ID = B.ID) A.電話番号 = (select B.電話番号 from テーブルB B..
2010.02.18 -
You can't specify target table 'x' for update in FROM clause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서 찾아봤더니 갱신 또는 삭제쿼리의 조건절에는 갱신 또는 삭제 대상이 되는 테이블이 쓸 수 없다네요. Error 1093 (ER_UPDATE_TABLE_USED) SQLSTATE = HY000 Message = "You can't specify target table 'x' for update in FROM clause" このエラーは次のような場合に発生する。 UPDATE t1 SET column2 = (SELECT MAX(column1) FROM t1); サブクエリは SELECT ステートメントと同じく、UPDATE ステートメントや DELETE ステートメントでも正式に使用できるので、UPDATE ステートメント内の割り当てにサブクエリを使用しても問題ありません。 しかし、サブクエリの FROM 節と更新..
2010.02.17 -
log sort
cat xxx.com- access_log | grep "15/Feb/2010:17" | cut -d' ' -f1 | sort | uniq -c | sort -nr | head
2010.02.16 -
[공격] Slowloris 라는 HTTP dos 툴에 대해...
관련 URL : http://ha.ckers.org/slowloris/ http://isc.sans.org/diary.html?storyid=6622 공격코드 : http://ha.ckers.org/slowloris/slowloris.pl http://www.drk7.jp/MT/archives/001527.html 안녕하십니까? 씨디네트웍스 홍석범입니다. 최근에 Slowloris 라는 HTTP dos 툴이 공개되어 아래와 같이 내용을 공유합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 공격의 특징 및 원리 -. 실제 공격 테스트 -. 공격에 취약/취약하지 않은 서버 -. 공격시 로그 분석 -. 대응방법 -. 참고 URL ====================================================..
2010.02.16 -
iPhone OS 3.1.3 대응 「PwnageTool 3.1.5」공개
매킨토시 사용자 대응입니다. 저는 iPhone3GS 3.1에서 블랙레인을 만지작거리다가 실수로 3.1.3으로 업뎃을 해버렸습니다. 최신 정보가 올라오는 블로그 인듯한 글을 보고 따라했습니다. 실행은 아래의 글 참조! 하지만 USB연결 부분에서 아이폰을 인식하지 못하는군요. 연결즉시 아이튠는 뜨는데 왜 PwnageTool 에선 인식을 안할까.... 아래의 글은 3G로 실행후 성공한 사례입니다. 3G 3.1.3이신 분은 참고하셔도 될 듯 합니다. 단, 탈옥에 대한 책임은 자기부담으로 해주삼*^^* Mac유저용, iPhone OS 3.1.3 대응 「PwnageTool 3.1.5」가 공개되었습니다. iPhone OS 3.1.3対応のPwnage Tool 3.1.5がリリースされたので、iPhone 3GのOSをアップグ..
2010.02.13 -
기동시 자동으로 서비스 시작하기기
[root@centos ~]# chkconfig mysqld on ← MySQL自動起動設定 [root@centos ~]# chkconfig --list mysqld ← MySQL自動起動設定確認 mysqld 0:off 1:off 2:on 3:on 4:on 5:on 6:off ← ランレベル2〜5のonを確認
2010.02.12 -
cron 클론 설정
crond 데몬 /etc/rec.d/init.d/crond 스크립트에 의해 시작, 종료,재시작될 수 있다 기본 명령의 위치 :/user/bin/crontab =>아무곳에서도 실행 가능 함 등록,수정, 보기 사용형식 crontab [ -u 사용자 id] 파일 crontab [-u 사용자 id] { -l | -r | -e} crontab -l : 예약된 작업리스트 crontab -e : 예약된 작업 수정 crontab -r : 예약된 작업 삭제 crond 실행 확인 => ps -ef | grep crond crond 시작 => /etc/rc.d/init.d/crond start{restart | stop} 일반사용자에게 crontab 명령어 사용하도록 설정 허가 => /etc/cron.allow 여기에 ID..
2010.02.09 -
VirtualBox ip 설정
http://d.hatena.ne.jp/p4life/20090413/1239624784 Windows PC 上で仮想的に Linux を動かして、そこを開発環境として使えるといろいろ便利です。それをするためのソフトとして VMware Server、VirtualPC、coLinux などがありますが、今回 VirtualBox を試してみたところ、簡単に開発環境を準備することができました。 VirtualBox に CentOS を入れて、Windows PC 上のウェブサービス開発環境として使えるようにするまでの手順をメモしておこうと思います。 VirtualBox の良い点 インストールが簡単 ダウンロード&インストールに面倒なユーザー登録がない VMware Server は面倒だった気がする UI が使いやすい 設定画面などが分かりやすい VirtualPC 近い..
2010.02.08 -
CentOS 인스톨 총정리
-------------------------------------------------- 웹에서 바로 인스톨하기 http://d.hatena.ne.jp/p4life/20090413/1239624784 안됨. 그냥 한장짜리 풀버젼 받아서 하면 설치됨 -------------------------------------------------- 기본으로 깔리는 php-5.1.6을 5.2.버전대로 버전업하기 http://www.kfactory.net/?p=833 centos 韓国語 언어팩 설치 # yum grouplist hidden で Japanese Support とかが現れると思います。 # yum groupinstall "Japanese Support" # yum groupinstall "Korean Sup..
2010.02.08 -
OSX ssh 재기동
sudo SystemStarter restart SSH
2010.02.08 -
ssh에서 rsa설정
1. 암호화 방식 (둘 중 하나만 사용한다.) - dsa - rsa 2. 암호 생성 방법 보통 엔터만 계속 치면 되지만, 기존에 사용하는 암호가 있을 경우 덮어 쓸지 물어봄. 새롭게 만들꺼면 덮어쓰면 되고, 기존에 있는 걸 쓸 경우 취소하고, 기존 암호를 이용. - ssh-keygen -t dsa - ssh-keygen -t rsa 3. ~/.ssh 에 존재하는 암호를 확인 cat 파일명 - dsa는 id_dsa.pub - rsa는 id_rsa.pub 4. 상대방 서버의 ~/.ssh 폴더에 있는 인증파일(authorized_key)에 암호를 넣는다. 아래의 파일이 없을 경우 생성한다. 퍼미션 (644) - dsa는 authorized_key - rsa는 authorized_key2 인증파일 안에 이미 기..
2010.02.08 -
php 설치
http://2php.jp/php/install_php_linux.html#download
2010.02.08 -
mysql 백업/복구
mysql 백업/복구 백업하기 mysqldump -u [DB사용자] -p [패스워드] [백업할 데이터베이스 이름] > [파일이름] 복구하기 mysql -u [DB사용자] -p [패스워드] [복구할 데이터베이스 이름] < [파일이름]
2010.02.05 -
rhel5 (Red Hat Enterpris Linux 5), CentOS 일본어, 한국어 설치
버추얼머신으로 설치 한 경우 언어팩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가상CD에 있는RPM을 설치 한다 # rpm -ivh /media/RHEL_5_3_i386_DVD/Server/fonts-japanese-0.20061016-4.el5.noarch.rpm # rpm -ivh /media/RHEL_5_3_i386_DVD/Server/fonts-korean-1.0.11-10.el5.noarch.rpm CentOS의 경우 # yum groupinstall "Korean Support" # yum groupinstall "Japanese Support"
2010.02.05 -
vi 커맨드
◈ VI Editor 사용법 1. ^M삭제 vi로 어떤 파일을 열면 ^M 이라는 문자가 각 줄 끝에 붙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문자 치환 명령으로 간단하게 없앨 수 있다. ( ^M 은 Ctrl + v 을 누르고 M 을 입력하면 나타나는 기호이다. ) (ctrl+v)M 은 ctrl과 v를 눌러준후, ctrl키를 떼지 말고 바로 m을 눌러주시믄 됩니다. 위는 정규표현식을 이용한것이고, 형식은 %s/이것을/요걸로/g입니다 그럼 문서안의 모든 "이것을" "요걸로" 바꾸게 되죠. 단, ^M의 경우 ctrl+M의 뜻인데 단순히 문자로 ^M을 바꾸라도 해도 인식을 못하기 때문에, 위처럼 (ctrl+v)M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문자 치환 명령 :%s/찾을문자/바꿀문자/g
2010.02.05